자위행위는 사람이 사라가면서 느끼는 3대 욕구 중 성욕을 해소하기 위해 혼자서 오르가즘을 느끼는 것을 말합니다. 자기위로라고도 하는 자위행위는 잘 못하면 발기부전까지도 이르게 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성생활을 위한 자위의 효과와 위험성을 알아보겠습니다.
자기위로 자위의 효과 위험성 발기부전 건강한 성생활 알아보기
목차
자위의 효과
자위행위는 사람이 살아가면서 자연스럽게 하게되는 행위이다. 실제 설문조사에 따르면 남자는 95% 이상이 해봤다고 답변을 했으며, 여성의 경우도 약 81%가 자위를 해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위를 부끄럽게 생각할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안전하고 건강하게 할 수 있을지를 알아보는 것이 더욱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자위를 하게 되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남자의 경우 여자와 다르게 월경이라는 행위를 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남자는 몽정을 통해 정자를 배출하게 됩니다.
하지만 몽정을 하지 않고도 정자를 배출할 수 있는데요. 바로 자위를 하거나 성관계를 통해 정자를 배출할 수 있습니다. 남자는 여자와 다르게 정자의 생장주기가 짧아 빠른 순환이 필요합니다.
자연스럽게 몽정을 통해 배출되기에는 정자의 생장주기보다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리며, 성관계의 경우는 파트너가 있지 않으면 사정을 통한 정자의 배출이 어렵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위를 통한 정자의 배출이 필요한 것입니다. 자위를 통해 정자를 배출해주고 주기적인 교체를 해주는 것이 정자의 건강의 있어서도 굉장한 도움이 되며, 나중에 임신을 계획하였을 때도 임신율을 올려준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자위는 성욕해소라는 1차원적인 부분뿐 아니라 정자건강과도 아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절대 나쁜 것이 아닙니다.
자위의 부작용
어떤 것이 되었든 과도하면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자위도 마찬가지입니다. 자위를 하게되면 오르가즘을 느끼면서 뇌에서는 도파민이 나오게 됩니다.
이런 도파민에 중독이 되어 자극에 대해 무뎌진다면 심각한 경우 발기부전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자위를 통해 자극에 무뎌지게 된다면 실제 성관계 시 조루 혹은 지루가 될 수 있습니다.
조루는 성관계를 하는 둘 다 만족하지 못하고 사정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아무리 짧다고 하더라도 둘이 만족을 한다면 조루라고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의료계에서 정해놓은 기준으로보면 조루일 수 있지만 파트너와 자신이 만족한다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지루는 조루와 반대로 성관계를 통해 자연적인 사정이 안되는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이 자위중독으로 발기부전이 생길 경우 약 1~2개월 정도 정상적인 생활을 하게 되면 90% 이상은 발기부전이 치유된다고 합니다.
건강하게 성생활을 즐기는 방법
건강하게 성생활을 즐기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남자, 여자 할 것없이 자위나 성관계를 하기 전에 청결은 우선입니다.
항상 자위나 성관계를 하기 전에는 샤워를 하거나 성기와 손을 깨끗하게 씻을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맨손으로 자위를 할 경우 피부에 마찰로 인해 상처가 생기고 세균이 들어가 염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윤활액을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 중에 하나입니다.
추가적으로 너무 자극적인 동영상을 보면서 자위를 하게되면 성기능 장애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간헐적으로 동영상 시청을 끊어주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적절한 자위행위를 하게되면 스트레스 해소와 함께 정신건강에도 좋고 남자의 경우 정자 건강도 좋아지기 때문에 과도하지 않게 청결을 유지하며 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외에도 자위를 과도하게 할 경우 음경이 휘거나, 색이 변한다는 얘기는 거짓이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오늘은 자기위로 자위의 효과와 위험성, 발기부전, 건강하게 성생활을 즐기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성인보다는 이제 막 성에 눈을 뜨는 청소년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성은 소중하고 아름다운 것이기 때문에 서로 지켜주고 배려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부끄러운 것이 아니기 때문에 숨길 필요는 없습니다. 잘 못된 성상식으로 문제가 생기지 않게 생교육에 도움이 되었으기를 바라며 포스팅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수치 이상 신호? 간수치 높을 때 주의해야 할 생활습관과 관리법 (0) | 2024.04.07 |
---|---|
말초 삽입 중심 정맥 카테터(PICC) 관리 포인트 완벽 가이드 (0) | 2024.02.27 |
발가락 골절 시 치료방법 테이핑 치료기간 회복 팁 알아보기 (0) | 2023.12.29 |
루테인 영양제 추천 효능 부작용 먹으면 안되는 사람 알아보기 (0) | 2023.12.26 |
누베베 한의원 다이어트 한약 감비정 효과 부작용 가격 후기 (0) | 2023.12.23 |